🎉경제 아틀라스 한국어판 2025 발간(PDF)
≪경제아틀라스 한국어판 2025≫는 하인리히 뵐 재단 동아시아 사무소의 발행물이다. 본 아틀라스는 하인리히 뵐 재단이 2024년 베를린에서 발행한 독일어판 ≪Wirtschaftsatlas 2024≫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제작되었다. 번역에는 움벨트 유진, 박상준, 김인건이 참여했으며, 디자인 및 제작은 움벨트 조은애가 담당했다.
≪경제아틀라스 한국어판 2025≫는 하인리히 뵐 재단 동아시아 사무소의 발행물이다. 본 아틀라스는 하인리히 뵐 재단이 2024년 베를린에서 발행한 독일어판 ≪Wirtschaftsatlas 2024≫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제작되었다. 번역에는 움벨트 유진, 박상준, 김인건이 참여했으며, 디자인 및 제작은 움벨트 조은애가 담당했다.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생태환경문화운동을 펼치는 (사)작은것이 아름답다가 펴낸 ≪플라스틱, 쓰레기 그리고 나 – 숨은 얼굴 찾기!≫ PDF 파일을 공개합니다. 더 많은 청소년들과 시민들이 ‘플라스틱’ 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2025년 7월 3일 ‘세계 비닐봉지 쓰지 않는 날’을 즈음해 하인리히 뵐 재단과 <작은것이 아름답다>가 함께 동시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읽기 – 미래가 우리를 압도할 때 인간에 대해 이야기하기 ‘1957년 인간이 만든 지구 태생의 한 물체가 우주로 발사됐다’, <인간의 조건>의 서론 첫 문장입니다. 화성으로 인간의 새로운 식민지를 꿈꾸는 어떤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가 <인간의 조건> 첫 문장이 떠올랐습니다. <전체주의의 기원>과 함께 한나 아렌트의 대표적 저작으로 꼽히는 더보기…
움벨트 북클럽 – 함께 만드는 북클럽 <우리 시대 소설 읽기 – 21세기의 고전> 움벨트 소설 읽기 이번 모임은 뉴욕타임즈 선정 21세기 최고의 책 100권 중 한글 전자책이 있는 책 4권을 함께 선정해 읽어볼까 합니다. 예스24에서 100권 중 전자책이 있는 책을 한 페이지에 모아두었습니다. 📚책 목록: https://event.yes24.com/template?EventNo=250424 해당 페이지를 참고해, 모임의 더보기…
플라스틱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할 70가지 플라스틱 관련 질문과 대답을 담은《플라스틱, 쓰레기 그리고 나 숨은 얼굴 찾기!》한국어판이 출간됐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 그리고 나 숨은 얼굴 찾기!》은 플라스틱 위기를 겪고 있는 당사자인 어린이, 청소년을 비롯해 플라스틱 문제에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기획한 ‘플라스틱의 숨은 진실을 찾아가는 더보기…
기후위기 SF스릴러 <살아남은 자들>을 쓴 홍파랑 작가의 온라인 북토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여러분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계시나요? SF스릴러 소설 <살아남은 자들>은 기후 위기로 해수면이 상승하고 소수자를 혐오하는 광신도 집단이 세상을 지배하는 미래의 한국에서 살아남기 위해 길을 떠나는 소수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절대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일이지만, 이러한 미래가 그리 멀지 않을지도 더보기…
🍂📚가을밤, 내 마음의 소설 읽기 뜨거운 여름이 지났습니다. 열기가 식고 나면 지나간 시간을 생각하기 좋은 밤이 찾아옵니다. 소설은 그것이 미래를 다루고 있을지라도 내가 아닌 다른 누군가, 혹은 또 다른 나 자신이 이미 경험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야기를 읽는 것은 삶이 그냥 그렇게 흘러가는 것을 막아서서 이야기는 읽는 사람의 시선을 더보기…
목차는 단순했습니다. 1. 닭고기의 경우 2.돼지고기의 경우 3.개고기의 경우 이렇게 세 챕터로 나누어져 있었고, 더 자세히는 1.닭고기의 경우에 산란계 농장, 부화장, 육계 농장이 2. 돼지고기의 경우에 종돈장, 자돈 농장, 비육 농장이 3.개고기의 경우에 첫 번째 개 농장과 두 번째 개 농장으로 나누어져 있었습니다. 작가는 이 군더더기 없는 목차에서 좁은 케이지에서 더보기…
“어두운 미래, 지키고 싶은 것” 디스토피아 소설 북클럽 후기 기후 위기의 시대, 끝나지 않는 전쟁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미래를 마냥 낙관적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다가올 미래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지금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지 고민해 보기 위해 디스토피아 소설 네 권을 함께 읽었어요. 첫 번째 시간에는 오리엔테이션과 각자 소개하는 시간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