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 아틀라스] 출간 안내

움벨트의 번역 프로젝트 <아틀라스> 시리즈의 첫 책이 드디어 출간되었습니다. 움벨트의 <아틀라스> 시리즈 번역 프로젝트 시작 움벨트가 하인리히 뵐 재단(Heinrich-Böll-Stiftung)의 <아틀라스> 시리즈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싶다고 의견을 모았던 게 기억납니다. 하인리히 뵐 재단에는 좋은 보고서, 책이 많이 있지만 움벨트가 그 중에서 <아틀라스> 시리즈를 선택한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었습니다. 우선 <아틀라스>는 다양한 환경문제에 더보기…

[베를린에서 온 기후 편지] 기후위기에 대처하는 유럽사회의 자세

2003년 5월 창간한 페미니스트 저널 에 프라이부르크에 거주하는 하리타 님과 함께 “베를린에서 온 기후 편지”라는 연재를 시작했습니다. 첫 번째 편지는 한국 그린뉴딜과 유럽연합의 그린딜, 독일의 기후보호 프로그램 2030 정책을 분석하고, 기후위기 시대, 강력한 기후보호 정책으로 인기를 높여가는 독일 녹색당에 관해 다루었습니다.

[인터뷰] 오늘부터 나 비건이야!

LA 가는 비행기표를 예매하면서 호기심으로 기내식도 비건으로 신청했다. 비행기를 타던 날 아침도 평범하게 밥에 계란에 비엔나 소세지를 먹고 10시간 동안 비행기에서 책을 읽고 채식으로 식사를 하고 비행기에 내려서 마중 나온 친구한테 이야기 했다. “오늘부터 나 비건이야!”

<석탄 아틀라스> 한국어판 출간 텀블벅 시작!

지구환경보고서 <석탄 아틀라스> 한국어판 출간 움벨트 팀원들과 하인리히 뵐 재단에 컨택해 번역 허가를 받고 본격적으로 아틀라스 시리즈를 번역한 지 2년이 훌쩍 지났다. 하인리히 뵐 재단 자료는 독일에 살고 있는 움벨트 팀원들이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접하고 있던 것들이라 아주 낯설지 않았다. 번역물을 출판해줄 한국 파트너로 한국 최초 생태환경문화잡지인 <작은것이 아름답다>를 만나면서 더보기…

베를린 도시 텃밭, Himmelbeet

어디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자유롭다 생각되지만, 때로는 콘크리트 빌딩 사이에서, 빠르게 걸어가는 사람들 사이에서 그 익명성은 숨이 막히곤 한다. 그럴 때 이방인은 어디에 가야하는가? 여기 흙과 익명의 사람들이 어우러진 Himmelbeet(힘멜비트, 하늘의 밭)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베를린 북서쪽의 베딩(Wedding) 지역에 위치한 Himmelbeet는 한국으로 말하자면 공동 텃밭의 형태를 띄고 더보기…

슈바르츠골드 베를린

베를린의 유명한 쇼핑가인 하케셔 마크트(Hackescher Markt) 주변을 돌아다니다 보면 한 개성 넘치는 쥬얼리 샵을 만나게 된다. 하케셔 마크트 인근 소피엔슈트라세(Sophienstrasse) 한켠의 간판 없는 검은색 매장은 지나가는 행인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곳은 슈바르츠골드 베를린(SCHWARZGOLDberlin)로,  옥사나 테스만(Oxana Tessmann)이 작년에 오픈한 쥬얼리 스튜디오다. 그녀가 디자인한 개성이 뚜렷한 쥬얼리는 베를린을 넘어 미국에서도 이름을 알리고 있다. 더보기…

Lange Nacht der Bilder, Lichtenberg

리히텐베르크(Lichtenberg)는 조금 애매한 지역이다. 베를린에 온 여행자들은 주요 관광지가 모여있는 미테(Mitte)나 힙하다고 알려진 크로이츠베르크(Kreuzberg) 또는 안전하다고 알려진 샬롯텐부르크(Charlottenburg)를 찾기 때문이다. 리히텐베르크는 크로이츠베르크와 가까운 동쪽에 있지만 걸어서 갈 정도로 가깝지는 않아서, 여행객들이 잘 찾지 않는 지역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올해로 12회를 맞은 리히텐베르크의 예술 이벤트 Lange Nacht der Bilder를 다녀오니, 더보기…

동물윤리와 우리 시대 : 인터뷰 Richard David Precht-2

인터뷰 1에 이어집니다. S: 개신교회를 보면 마르틴 루터는 동물의 친구로 여겨진다. 개신교회에서는 동물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 P: 전체적으로 보아 개신교회는 동물을 완전히 대상으로서만 보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여하간 그것은 공식적인 교회 예를 들면 루터파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루터 본인에게서 나온 동물에 관한 두 가지 말이 있다. 하나는 그가 젊었을 때 잘 더보기…

동물윤리와 우리 시대 : 인터뷰 Richard David Precht-1

Richard David Precht는 1964년생으로 철학자이자, 출판인, 작가, 그리고 독일어권에서 가장 유명한 지식인 중 한 명이다. 철학과 미학 분야의 명예교수로 베를린과 뤼네부르크에서 활동하고 있다. “나는 누구인가(한국어 제목: 원제-Wer bin ich – und wenn ja, wie viele?)”, “사랑, 그 혼란스러운(한국어 제목: 원제-Liebe, Ein unordentliches Gefühl)” 등의 저서가 4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2016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