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운동, 독일에 묻다 ②] ‘이동권’ 보장 법률과 정책에 따른 변화

프레시안 기획연재 두 번째 글은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하는 법안, 현재 베리어프리 현황에 관한 글입니다. 독일은 정부기관에서부터 민간시설에 이르기까지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하는 주요 법률을 제정해왔고, 이를 실행하는 구체적인 정책에 정부와 지자체의 상당한 예산을 사용해왔습니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의지에 따라 진행되는 대중교통 배리어프리 확대 사업은 지자체장과 연립 주정부를 구성하는 정당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더보기…

[장애인 운동, 독일에 묻다 ①] 독일의 장애인 이동권 투쟁과 ‘배리어 프리’의 실현

프레시안 기획연재 첫 번째 글은 독일의 장애인 이동권 역사와 이동권 정책에 관한 내용입니다. 기차 플랫폼에서 역 입구로 이어지는 난간에 몸을 매달고, 통행을 막으며 이동권을 보장하라는 시위는 한국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장애인 이동권 시위를 연상시킵니다. 장애인의 이동권 투쟁은 한국만이 아니라 독일에서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에너지아틀라스] 출간 안내

움벨트가 번역한 하인리히 뵐 재단(Heinrich-Böll-Stiftung) 재단의 <에너지아틀라스 ENERGIEATLAS>가 2023년 1월 13일 한국어판으로 출간되었습니다. 한국의 생태환경문화잡지 작은것이 아름답다에서 출간한 이번 한국어판 <에너지아틀라스>는 <석탄아틀라스>, <플라스틱아틀라스 세계>, <플라스틱아틀라스 아시아>에 이어 네 번째로 한국에 소개되는 아틀라스입니다. ≪에너지아틀라스≫는 12개 주제로 나눠 유럽의 재생에너지의 현실과 과제를 다루고 있다. 역사, 미래, 경제, 시민 에너지, 도시, 에너지 빈곤, 더보기…

[독립녹색잡지] 똑똑똑, 녹유 제21호

움벨트 소속 김인건 님과 손어진 님이 참여하고 있는 독립잡지 <똑똑똑, 녹유>를 소개한 적이 있지요. (제19호 소개 글, 2021년 7월 16일) 2022년 여름에도 제20호가 발행되었고, 이번에 가을호 제21호가 발행되었습니다. (*21호 이전 <똑똑똑, 녹유>는 모두 녹유 홈페이지를 통해 다운로드 하셔서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6월 미국 연방대법원에서 여성의 임신중지 권리를 인정한 ‘로 대 더보기…

[플라스틱아틀라스] 세계판, 아시아판(한국어 버전) 동시 발간

안녕하세요! 석탄아틀라스에 이어 플라스틱아틀라스 세계판과 아시아판 두권이 발간되었습니다. <움벨트>에서 번역하고, <작은것이 아름답다>에서 발간한 플라스틱아틀라스 세계판과 아시아판은 각각 독일 <하인리히 뵐 재단>과 독일환경단체 <분트>에서, <하인리히 뵐 재단 아시아지부>와 <플라스틱 추방연대>에서 발행한 플라스틱 보고서입니다. 《플라스틱아틀라스》는 세계 곳곳에서 마주하는 플라스틱 문제의 민낯이 무엇인지, 오해와 진실, 성찰과 대안이 담았습니다. ‘플라스틱’이 등장한 지 113년, 지구별은 더보기…

[석탄아틀라스] 개정 온라인판 무료 공개

안녕하세요! 지난 2021년 3월 19일, <움벨트>에서 번역하고, <작은것이 아름답다>에서 발행한 <하인리히 뵐 재단>의 석탄 아틀라스 한국어판 출간 소식을 전했습니다. 이후 <하인리히 뵐 재단 아시아 지부>와 <작은것이 아름답다>가 협력해 석탄 아틀라스 한국어 개정 온라인판을 제작했습니다. 그리고 2022년 2월 21일, 한국어 개정판을 누구나 읽어볼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무료로 공개했습니다. <석탄 아틀라스> 첫 더보기…

[베를린에서 온 기후 편지] 기후위기 시대의 생존방식은 ‘탈성장’, ‘연결’되는 삶

2021년 한 해 동안 하리타 님과 함께 여성주의 저널 <일다>에 연재한 “베를린에서 온 기후편지” 마지막 편이 발행됐습니다. 한 해 동안 총 12편, 11개 주제로 한국에 있는 에코워리어(Eco-Warrior, 환경을 지키는 전사) 독자들에게 편지를 보냈는데요, 마지막 편은 남미자 독자님(경기도교육연구원)의 독자후기와 저희의 답장으로 마무리를 해보았어요. “저는 요즘 근본적인 전환이 필요한 게 아닐까 생각을 더보기…

[베를린에서 온 기후 편지] 빌려 쓰고 다시 쓰고…기후위기 시대의 경제

우리에게 꼭 필요해 구입할 수 밖에 없는 물건들. 우리는 어떻게 소비하고 사용 후 처리해야 할까요? 많은 회사들이 늘어나는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품 재활용과 같은 지속가능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데요, 그 중 몇몇이 소비자를 녹속임하는 그린워싱 사례로 드러나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스포츠 의류 다국적 기업인 나이키는 ‘나이키 그라인드'(Nike Grind) 캠페인을 더보기…

[베를린에서 온 기후 편지] 연방선거 이후 독일의 ‘미래를 위한 금요일’ 운동

독일의 ‘미래를 위한 금요일’ 운동은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그룹 중 하나입니다. 2018년 8월 스웨덴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가 홀로 국회 앞에서 시작한 ‘기후보호를 위한 학교파업’(Skolstrejk för klimate) 이후, 독일 청소년/청년들도 그 해 12월부터 ‘미래를 위한 금요일’ 시위를 조직하고 기후파업을 주도해왔습니다. 지난 10월 22일, 금요일에 열린 ‘미래를 위한 금요일’ 시위 이틀 전, 더보기…